나 하나쯤이야

국경을 넘나드는 해양쓰레기

나 하나쯤이야

국경을 넘나드는 해양쓰레기

‘쓰레기 처리’란 인간이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대상으로 봤다는 점에서 이제는 철 지난 시대의 문구가 되었다. 어린시절을 떠올리면, ‘낙동강 정화 작업’ ‘해양쓰레기 줍기 봉사’와 같이 초록색 새마을운동 조끼를 입고 청소하고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글쓰기 대회에 참여했던 기억이 난다. 대부분 엄청난 플라스틱 종류의 쓰레기들이 조류를 타고 내려온 것들이었는데, 당시만 하더라도 ‘해양 오염’으로부터 우리가 지키기 위한 책임을 개인에게 강조하는 캠페인이었다.

이것은 이제 꽤 시간이 흐른 ‘과거의 이야기’다. 사업용 플라스틱 사용이나 이미 보편화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없는 시점에서 해양플라스틱은 인간의 손에서 벗어나 버렸다. 해양쓰레기 중 80% 이상이 플라스틱이고, 우리나라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2018년 기준 14만 5000톤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해류와 바람을 따라 이동하는 해양쓰레기가 해저 생물만이 아니라 관광이나 해양사업, 나아가 인간의 건강까지 해칠 정도가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개인의 봉사’나 ‘지역 환경’과 같은 국가 단위의 단계를 잠깐 머물다가 곧바로 국제사회의 의제가 되었다.


구체적 실천으로, 2015년 유엔은 2030년까지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7개 가운데 하나로 해양생태계 보호를 선정했는데, 모든 종류의 해양 플라스틱 발생량을 ‘제로(0)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2018년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204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의 100%를 회수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해양 플라스틱 헌장’을 발표하기까지 했다.

YTN | 2018.06.11 | 다른 각도에서 찍힌 G7 정상들의 모습

문제는 이러한 기사나 정보를 접할수록, ‘지구촌 문제’가 된 ‘해양쓰레기 문제’가 이제는 국제사회의 해결과제’로만 여겨진다는 것이다. ‘지구촌 문제’에 대한 올바른 개념은 개인, 사회, 국가, 국제사회 모든 행위자의 실천적 노력이 동시에 지속되어야 할 문제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쓰레기 처리라는 것은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필요하고, 쓰레기 발생의 방지는 개인을 넘어서는 의제가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내적으로는 해양쓰레기는 해양과 육지의 구분이 사라질 만큼 기후에 따른 ‘이동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국가에 의한’ 플라스틱 처리 문제만도 아니게 된 것이다. 단지 우리에게는 국경이 사라진 플라스틱 쓰레기로 다가올 뿐이다. 결국, 해양쓰레기 발생 방지의 노력도 개인의 몫과 직결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국가의 환경 규제들이 개인의 실천적 노력을 모두 다 이끌고 가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실적으로는 규제비용에 드는 일명 ‘사회적 비용’이 또 다른 이중 부담으로 다가오는 상황에서 개인의 실천이 동시병행 되어야 기업들도 동참할 수 있는 구조가 된 것이다.


거대해 보였던 국경 없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오히려 개인의 실천적 문제에서 ‘플라스틱 줄이기’로 한층 가까이 다가온 것이 아닐까.

‘쓰레기 처리’란 인간이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대상으로 봤다는 점에서 이제는 철 지난 시대의 문구가 되었다. 어린시절을 떠올리면, ‘낙동강 정화 작업’ ‘해양쓰레기 줍기 봉사’와 같이 초록색 새마을운동 조끼를 입고 청소하고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글쓰기 대회에 참여했던 기억이 난다. 대부분 엄청난 플라스틱 종류의 쓰레기들이 조류를 타고 내려온 것들이었는데, 당시만 하더라도 ‘해양 오염’으로부터 우리가 지키기 위한 책임을 개인에게 강조하는 캠페인이었다.

이것은 이제 꽤 시간이 흐른 ‘과거의 이야기’다. 사업용 플라스틱 사용이나 이미 보편화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없는 시점에서 해양플라스틱은 인간의 손에서 벗어나 버렸다. 해양쓰레기 중 80% 이상이 플라스틱이고, 우리나라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2018년 기준 14만 5000톤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해류와 바람을 따라 이동하는 해양쓰레기가 해저 생물만이 아니라 관광이나 해양사업, 나아가 인간의 건강까지 해칠 정도가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개인의 봉사’나 ‘지역 환경’과 같은 국가 단위의 단계를 잠깐 머물다가 곧바로 국제사회의 의제가 되었다.


구체적 실천으로, 2015년 유엔은 2030년까지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7개 가운데 하나로 해양생태계 보호를 선정했는데, 모든 종류의 해양 플라스틱 발생량을 ‘제로(0)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2018년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204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의 100%를 회수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해양 플라스틱 헌장’을 발표하기까지 했다.

YTN | 2018.06.11 | 다른 각도에서 찍힌 G7 정상들의 모습

문제는 이러한 기사나 정보를 접할수록, ‘지구촌 문제’가 된 ‘해양쓰레기 문제’가 이제는 국제사회의 해결과제’로만 여겨진다는 것이다. ‘지구촌 문제’에 대한 올바른 개념은 개인, 사회, 국가, 국제사회 모든 행위자의 실천적 노력이 동시에 지속되어야 할 문제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쓰레기 처리라는 것은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필요하고, 쓰레기 발생의 방지는 개인을 넘어서는 의제가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내적으로는 해양쓰레기는 해양과 육지의 구분이 사라질 만큼 기후에 따른 ‘이동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국가에 의한’ 플라스틱 처리 문제만도 아니게 된 것이다. 단지 우리에게는 국경이 사라진 플라스틱 쓰레기로 다가올 뿐이다. 결국, 해양쓰레기 발생 방지의 노력도 개인의 몫과 직결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국가의 환경 규제들이 개인의 실천적 노력을 모두 다 이끌고 가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실적으로는 규제비용에 드는 일명 ‘사회적 비용’이 또 다른 이중 부담으로 다가오는 상황에서 개인의 실천이 동시병행 되어야 기업들도 동참할 수 있는 구조가 된 것이다.


거대해 보였던 국경 없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오히려 개인의 실천적 문제에서 ‘플라스틱 줄이기’로 한층 가까이 다가온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