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하나쯤이야

분리수거를 해도 ‘헛수고’라고?

나 하나쯤이야

분리수거를 해도 ‘헛수고’라고?

어느새 우리가 눈에 익게 보이던 상품 용기들이 달라졌다. 알록달록한 페트병 용기들은 그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각인시켜 왔다는 데 새삼 느끼게 된다. 갈색 페트병 맥주통이나 초록색 소주병, 흰색 막걸리병 같은 것들이다. 왜 이것들은 어느새 색이 사라져 버렸을까? 분명히 분리수거가 되는 페트병인데 말이다. 색이 들어간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분리수거 표시가 되어 있더라도 얇은 재질이나 색이 들어간 플라스틱은 분류 과정에서 다시 쓰레기로 들어간다. 원가를 낮추기 위해 더 얇은 재질의 플레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아니 열심히 분리수거를 해도 재활용이 안 된다고?’ 한국은 1인당 플라스틱 사용량이 세계 1위일 정도로 높다. 그러나 그만큼 분리배출을 열심히 하는 국민도 없을 것이다. 생활폐기물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분리수거율은 약 70%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실질적으로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30%도 안 된다고 한다. 나머지 폐기물은 대부분 쓰레기 처리되는 것이다. 문제는 재질에 대한 환경규제가 없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분리수거 마크가 찍힌 채 생산되고 사용 후 분리된다는 점이다. 일명 ‘위장 재활용품’인 것이다.

그중 그린피스가 이야기하는 ‘최악의 플라스틱’은 폴리염화비닐(PVC)로 식품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랩이다. 이 재질은 소각할 때 염화수소라는 화학물질이 발생시켜 인체에 해롭다. 따라서 소각할 때도 특수공정을 거쳐야 한다. 우리나라도 분리수거 제도에 재활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재질을 분류해놓고 있다. 대표적으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복합재질(OTHER)이 그에 해당한다.  PS는 테이크아웃 용기나 요구르트 병과 같은 것들이고 OTHER은 화장품 용기, 즉석밥 용기, 편의점 즉석 도시락 용기와 같은 것들이다. 아마 이 중에서 쉽게 분리배출해왔던 것들이 많을 것이다.

용도나 원가 등을 고려해 플라스틱 재질이 다양하게 복합재질로 만들어져 나온다. 이런 문제는 재활용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재활용이 어려운 세 가지 재질들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재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재질규제는 미비하다. 가령 독일은 검은색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하지 못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플라스틱 포장재 중에 PE, PP 단일 재질만 허용하는 등으로 규제하고 있다.


재활용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고려하면, ‘무늬만 재활용’인 것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재활용은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을 세척, 파쇄하여 다시 제품으로 사용하는 ‘물리적 재활용’과 열분해나 화학분해를 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식이 있는데, 후자는 환경에 부정적이다.


또한 폐플라스틱 소각과정에서 대체연료로 활용하는 ‘에너지 재활용’이라는 방식도 있지만 이것도 소각처리라는 점에서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배출될 뿐이다. 결국 어떤 경우에도 ‘물리적 재활용’이 아니고는 지구의 기후 온도를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각자의 분리배출 노력만으로 기후변화에 맞설 수 없다는 데 무력감이 들었지만 동시에 구조적인 규제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에 더 절실히 느꼈다. 그럼에도 ‘나는 나대로’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해야 하지 않을까!

어느새 우리가 눈에 익게 보이던 상품 용기들이 달라졌다. 알록달록한 페트병 용기들은 그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각인시켜 왔다는 데 새삼 느끼게 된다. 갈색 페트병 맥주통이나 초록색 소주병, 흰색 막걸리병 같은 것들이다. 왜 이것들은 어느새 색이 사라져 버렸을까? 분명히 분리수거가 되는 페트병인데 말이다.


색이 들어간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분리수거 표시가 되어 있더라도 얇은 재질이나 색이 들어간 플라스틱은 분류 과정에서 다시 쓰레기로 들어간다. 원가를 낮추기 위해 더 얇은 재질의 플레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아니 열심히 분리수거를 해도 재활용이 안 된다고?’ 한국은 1인당 플라스틱 사용량이 세계 1위일 정도로 높다. 그러나 그만큼 분리배출을 열심히 하는 국민도 없을 것이다. 생활폐기물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분리수거율은 약 70%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실질적으로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30%도 안 된다고 한다. 나머지 폐기물은 대부분 쓰레기 처리되는 것이다. 문제는 재질에 대한 환경규제가 없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분리수거 마크가 찍힌 채 생산되고 사용 후 분리된다는 점이다. 일명 ‘위장 재활용품’인 것이다.

그중 그린피스가 이야기하는 ‘최악의 플라스틱’은 폴리염화비닐(PVC)로 식품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랩이다. 이 재질은 소각할 때 염화수소라는 화학물질이 발생시켜 인체에 해롭다. 따라서 소각할 때도 특수공정을 거쳐야 한다. 우리나라도 분리수거 제도에 재활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재질을 분류해놓고 있다. 대표적으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복합재질(OTHER)이 그에 해당한다.  PS는 테이크아웃 용기나 요구르트 병과 같은 것들이고 OTHER은 화장품 용기, 즉석밥 용기, 편의점 즉석 도시락 용기와 같은 것들이다. 아마 이 중에서 쉽게 분리배출해왔던 것들이 많을 것이다.

용도나 원가 등을 고려해 플라스틱 재질이 다양하게 복합재질로 만들어져 나온다. 이런 문제는 재활용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재활용이 어려운 세 가지 재질들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재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재질규제는 미비하다. 가령 독일은 검은색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하지 못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플라스틱 포장재 중에 PE, PP 단일 재질만 허용하는 등으로 규제하고 있다. 


재활용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고려하면, ‘무늬만 재활용’인 것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재활용은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을 세척, 파쇄하여 다시 제품으로 사용하는 ‘물리적 재활용’과 열분해나 화학분해를 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식이 있는데, 후자는 환경에 부정적이다.


또한 폐플라스틱 소각과정에서 대체연료로 활용하는 ‘에너지 재활용’이라는 방식도 있지만 이것도 소각처리라는 점에서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배출될 뿐이다. 결국 어떤 경우에도 ‘물리적 재활용’이 아니고는 지구의 기후 온도를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각자의 분리배출 노력만으로 기후변화에 맞설 수 없다는 데 무력감이 들었지만 동시에 구조적인 규제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에 더 절실히 느꼈다. 그럼에도 ‘나는 나대로’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해야 하지 않을까!